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언리얼의 화면전환 방법

Unreal Engine 4/Study

by hwano 2015. 3. 3. 16:40

본문

LMB - 자동차 운전과 비슷하게 작동한다. 버튼을 클릭하고 앞뒤로 움직이면 수평으로 이동한다.

RMB -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고개만 돌리는 방식.

MMB - 카메라 트래킹으로서 화면을 회전시키지 않고 그대로 위아래 좌우로 슬라이드 한다.

           LMB + RMB도 휠버튼 누른것과 같은 효과.

 

마우스 버튼을 누른 상태로 WASD키를 누르면 이동하며 QE는 위아래 이동 ZC는 카메라 줌인이다.

마우스 버튼을 때는 순간 처음 뷰로 다시 돌아간다.

 

ALT키를 누르면 마야처럼 기준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F키로 기준축을 변경할 수 있다.

ALT키를 누른상태로 휠버튼을 누르면 슬라이드되며 우클릭을 누르면 확대축소가 된다.

 

뷰포트창에서 카메라의 이동속도를 변경할 수 있는 아이콘이 있지만 사실 잘 쓰지 않으며

WASD등으로 이동할때 마우스휠을 위아래로 돌려보면 이동속도가 변경된다.

 

 

 

 

 

 

카메라 이동속도 변경아이콘 옆의 창 확대축소 아이콘을 눌러보면 4View 방식으로 변경된다.

휠로 줌인 줌아웃. 우클릭으로 패닝을 할 수 있다.

 

 

 

 

 

오브젝트를 이동시킬때 shift키를 눌러보자.  그러면 오브젝트가 움직일때 카메라또한 오브젝트와 연계되어

함께 움직이게 된다.   스팟라이트 같은 경우는 마야처럼 라이트 방향으로 카메라뷰를 변경할 수 있는데

뷰포트창에서 가장왼쪽 위에 있는 작은 화살표를 눌러보면 lock viewport to actor라는 명령이 있다.

관련글 더보기